차트 분석 방법

차트매매법 - 거래량을 활용한 매매

팀머니K 2023. 5. 19. 08:00
SMALL

주가의 흐름을 파악할 때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은 거래량입니다.

말 그대로 거래량은 매매하는 사람들의 양적 수준이겠죠?

그렇기 때문에 고스란히 거래의 실적이 정량적으로 축적되기 때문에 속이지를 못합니다.

거래량 수준을 보아야 어떤 흐름이고 패턴인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거래량이란?

차트를 보시면 아래 Bar chart를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거래량의 기본 매커니즘
매수량 > 매도량일 경우 양봉 / 매수량 < 매도량일 경우 음봉
거래량이 늘어나면 주가는 상승, 거래량이 줄어들면 주가는 하락

모 기업의 주가 흐름입니다. 상승한 구간들을 보았을 때 거래량이 상승한 것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같은 구간에서의 횡보/조정 기간입니다. 확실히 조정장에서는 거래량이 줄어드는 모습을 볼 수가 있습니다. 

그럼 우리는 이것을 보고 조정성 눌림이라는 것을 판단할 수가 있는 것이지요, 그 이후 상승하는 패턴으로 가는 것을 볼수가 었습니다. 

이렇게 기본적인 매커니즘을 활용하여 거래량이 증가할 때 주가가 상승할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하여 추격 매수 타점을 잡을 수 있고, 조정장에서 눌림목 타점을 잡을 수가 있습니다. 

 

 

그럼 하락하는데 거래량이 늘어난다면...?

이러한 경우도 분명히 있습니다. 한번 살펴볼까요?

거래량도 폭발했고 주가도 큰 낙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음봉이니 매도량>매수량인 것이고, 매도세가 워낙 셌다는 의미이지요. 투자자들은 평단가 관리를 하지 못해 너도나도 패닉셀을 하게 되며 마치 침몰하는 배에 너도나도 바깥으로 뛰어든 모습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한마디로 '누군가가 계속 던지고 있다'는 시그널로 해석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럼 하락하고 거래량도 큰데 낙폭이 적다면..?

거래량이 위 사진 내 기간에서 가장 많았지만 실제적으로 낙폭은 -1%~0%였습니다.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결국 저 지금에서 주가가 지지를 받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결국 매도세 vs. 매수세에서 이긴 쪽으로 주가 방향이 정해져있는 것인데, 아주 팽팽하게 대립을 이루고 있어 거래량은 엄청나게 증가하지만 실질적인 폭은 아주 작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이것은 주가 추세 전환의 절대적인 시그널이 됩니다. 결국 저 상황을 기점으로 상승 추세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가 있죠.

한마디로 '바닥이 가까워졌다' 라는 의미로 알고 있으면 될 것 같습니다. 

 

이렇게 거래량을 보고 지금 하나의 캔들/봉이 어떤 상황에 놓여져 있구나 라는 것을 파악할 줄 알아야합니다. 그래야지 어떠한 종목에서 살것이냐/팔것이냐를 판단할 때에 중요한 단서로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매매 지표로서 활용한다면 근거가 있는 투자가 될 것이고, 

결국에는 많이 따는 매매보다 잃지않는 매매가 될 수 있어 장기적으로 투자행위를 이어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매매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 매매를 합시다! 오늘 설명 끝

 

 

 

 

▼▼▼▼▼ 코인 선물/현물은 글로벌 1위 거래소 바이비트에서! 가입링크를 통하면 거래 수수료 20% 할인▼▼▼▼▼

투자는 바이비트에서! 링크로 가입하면 수수료 20%할인 및 추가 혜택 제공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