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트 분석 방법

차트매매법 -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매도시점 파악 (feat. 어깨에서 팔아라)

by 팀머니K 2023. 6. 16.
SMALL

오늘은 이동평균선을 활용해서 매수/매도 시점을 잡는 방법을 한번 다뤄볼까 합니다.

주식/코인을 하다보면 이 주가가 지금 어느정도 수준이지?

혹은 내가 지금 보유를 하고 있고 수익구간인데.. 언제팔지? 어? 떨어진다.. 아니야 일시적 조정구간이야.. 어? 어? 하다가 본전이 오거나 손실이 나던 경험을 우리는 많이 했을겁니다.

대충 이런 양상이죠 ㅎㅎ 자료를 만들면서도 나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아 웃기네요.

왜 그런 경험을 하는 것일까요?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의 매도 시점을 모르기 때문이지요. 

옛말에 무릎에서 사서 어깨에 팔아라는 이야기가 있지요. 매도는 신의 영역이라고 하지만, 우리는 차트라는 지표를 통하여 대충 어깨를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바로 3일선 5일선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개념은 아주 간단합니다. 차트상으로 캔들이 3일선 5일선을 이탈하면 그곳이 어깨라고 보는 것입니다.

 

왜 3일선 5일선일까요?

예전에도 한번 다룬적이 있는데, 이동 평균선은 매수자들의 가격 평균 선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3일 이평선은 3일간 매수한 사람들의 가격의 평균, 5일선은 5일의 평균선이 되겠죠? 

이 부분은 꽤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3일, 5일간의 매수자들의 심리적 저항선이기 때문이죠. 이들이 이 기간에 샀기 때문에 평균이동선이 생긴 것입니다. 

 

캔들이 3일선 평균 위에 있다고 하면, 3일동안 산 사람들보다 가격이 높게 형성이 되어 있으니 당연히 홀드하고 있겠지요

5일선도 마찬가지, 매수가보다 종가가 높으니 당연히 홀드를 하고 있겠지요.

 

반대로 종가가 3일선을 이탈한다, 한마디로 3일선 밑으로 떨어졌다고 하면 심리적으로 평단가를 이탈했다는 의미이므로 매도를 많이 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5일선을 차례로 이탈하게 되면은 5일 평균가가 떨어졌으니 그 사람들도 매도를 하는 상황으로 보시면 됩니다.

그러면 이 부분이 어깨 정도로 보는 것이고 매도를 하면 되는 것이죠.

 

한마디로 종가가 3일, 5일선 위에 있냐. 밑에 있냐를 기준으로 매매를 하면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림을 보면서 이야기해볼까요?

3일선이 빨간색, 5일선이 파란색입니다. 

이렇게 꾸준하게 오르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하나를 제외하고 종가가 3, 5일선 위에서 놀고 있습니다. 

이는 아직 모두가 수익 구간이라는 의미로 당연히 홀드를 하고 있겠죠.

 

그럼 다시 아까 그 눈물의 차트로 돌아가보겠습니다.

빨간 네모 박스를 보시면 저기서부터 종가가 이동평균선을 이탈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면 사람들은 너도나도 팔기 시작하면서 매도세가 강해지는 것이지요. 

매도세가 강해지므로 추세는 하방을 향하게 되면서 주가는 연일 하락하게 됩니다. 

이렇게 단기이동평균선을 이용해서 판단을 할 수가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항상 이야기하지만 어떠한 것도 절대적인 지표가 될 수는 없습니다.

단지 확률을 높이기 위한, 근거가 있는 매매가 되기 위한 보조지표일 뿐이죠.

 

우리 모두 근거가 있는 매매를 해서 잃지 않는 투자자가 됩시다. 오늘 설명 끝!

 

 

▼▼▼▼ 코인 선물/현물은 수수료 혜택이 큰 글로벌 거래소에서! 가입링크를 통하면 각종 거래 수수료 할인▼▼▼▼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