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트 분석 방법

차트매매법 - 눌림목 매매

by 팀머니K 2023. 5. 12.
SMALL

눌림목 매매란?

대전제는 주가를 움직이는 세력이 있다는 전제가 성립되어야 합니다. 

눌림목은 주가의 움직임에 있어 매수/매도세가 팽팽하여 가격의 변동이 크지 않고 가격 폭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구간을 말합니다.

이 구간에서 세력들은 원하는 가격의 주식을 매집하고 있다고 보고 있고 그 부분이 차트에 반영되어있고, 매집이 다 되었을 시 강한 시세 분출로 이어집니다.

마치 눌려있다가 강하게 분출되기 때문에 눌림목이라 부르며,  이 매집 구간에 매수를 해서 시세분출 구간에서 수익 실현을 하는 것이 눌림목매매입니다. 

 

눌림목은 왜, 어떻게 발생하는가?

주가는 끝없이 오를 수 없기 때문에 표면적으로 보았을 때 이유는 상승 이후 조정 구간이기 때문에 횡보하는 것이며,

실질적 이유는 세력들의 목표 주가로 올리기 위하여 힘을 모은다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흔히 개미들이 많이 타있으면 원하는 주가로 가는 과정에서 많은 수익실현 등이 일어나 주가가 제대로 움직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집기간에서 가격을 조정하여 일정한 가격 폭에서 매집을 하고 개미들이 붙을 새도 없이 강하게 시세분출하여 주가를 올려버리죠

 

어떤 것이 눌림목 구간인가?

먼저 눌림목의 유형을을 볼까요?

요런 형태의 차트를 보신적이 있으실 겁니다. 가격의 변동폭이 거시적으로 봤을때 변동이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드시 변동성이 일자이지는 않습니다 위든 아래든 지그재그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 실제 차트로 사례를 한번 보겠습니다. 

아주 아름다운 차트입니다. 눌림목 구간에서 박스권 형성 -> 시세분출 -> 박스권 형성 -> 더 큰 시세분출로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치 위로 튀려고하는 것을 눌러줬다가 놓으니 위로 튄 모습이지 않나요? 

이러한 종목을 찾으셨다면은, 내가 언제 매수를 하면 되는지? 언제 매도를 하여 수익실현을 하면 되는지 목표를 잡아 수익을 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눌림목매매 방법

그러면 이 눌림목을 활용해서 타점을 어떻게 잡으면 되느냐? 간단합니다.

거래량이 터져 장대양봉이 나온 이후라고 보시면 됩니다. 

장대양봉이 나온 이후에는 분명 조정 구간이 왔다가 다시 올라갈 것이고 (급등 차트일 경우 더 올라가는 경우도 많음)

이때 눌려주는 구간을 파악하고 타점을 잡으면 됩니다.

그러나 반드시 말대로 되는 경우는 없겠죠?

요 손절라인을 깬다고 하면 과감하게 칼손절하고 타점을 다시 잡아야합니다.

물론 부근에서 짚고 다시 올라가는 경우도 있지만은 그게 더 떨어질 수도 있는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실제 차트를 보면서 이야기해볼까요?

타점 잡기 1번

계속 오르다가 조정이 한번 왔어요, 장대양봉을 기준으로 타점 구간을 설정 눌려줄때에 매수를 했으면 다음 장대양봉이 나왔겠죠? 

타점 잡기 2번
1번 타점을 잡지 못하였을 때 다음 타점을 잡아볼까요?위 사진처럼 장대양봉이 나왔고 그 구간이 타점 구간으로 보았습니다.아래 손절라인이 있는데 그게 깨지니 차트가 흘러내리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손절하지 못했다면은 어디까지 떨어질 지 모르니 물려버려 손해가 커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그렇다기 보다는 과감하게 손절해서 타점을 다시 잡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며

차트는 어디까지나 투자 의사결정을 보조하는 지표일 뿐입니다.투자의 절대적인 지표가 될 수 없으며 확률을 높이는 목적으로만 잘 활용하시길 바라겠습니다.모두들 잃지않는 매매 잘 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그럼 오늘 설명 끝!

 

투자는 바이비트에서! 링크로 가입하면 수수료 20%할인 및 추가 혜택 제공

 

 

 

LIST